도함수
도함수는 미분계수를 일반화시킨 개념이다. 즉 도함수는 어떤 함수의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정의는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함수 $ f $ 의 정의역의 원소 $ x $ 에 다음 극한값 $ m_x = \lim_{\Delta x \to 0}{\dfrac{f(x+\Delta x)-f(x)}{\Delta x}} $ 가 존재하면 $ m_x $ 함수를 $ f $ 의 도함수라 한다.
이러한 도함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여라가지가 있는데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뉴턴 표기법
$ f^\prime (x) $
- 라이프니츠 표기법
$ \dfrac{d}{dx} f(x) $
- 미분연산자 활용
$ D f(x) $
도함수 성질
- 합차법칙
$ D \left[ f(x) \pm g(x) \right] = D f(x) \pm D g(x) $
- 곱법칙
$ D \left[ f(x)g(x) \right] = f(x)Dg(x) + Df(x)g(x) $
- 몫법칙
$ D \left[ \dfrac{f(x)}{g(x)} \right] = \dfrac{Df(x)g(x)-f(x)Dg(x)}{ \left[ g(x) \right]^2} $
- 연쇄법칙
미분연산자 표기: $ D_x y = D_u y \times D_v u \times D_x v $
라이프니치 표기: $ \dfrac{dy}{dx} = \dfrac{dy}{du} \times \dfrac{du}{dv} \times \dfrac{dv}{dx} $
- 어림값 구하기
$ dy = f^\prime (x) dx $ 일 때 $ dx = \Delta x $ 를 통해 $ dy $ 를 어림할 수 있다.
$ f(x+\Delta x) \approx f(x) + dy = f(x) + f^\prime (x) \Delta x $
음함수 미분
해당 식을 모두 미분하고, $ \dfrac{dy}{dx} $ 만 남기고 우측으로 넘겨 정리한다.
주의할 점은 $ y $ 는 $ x $ 에 대한 함수이므로 $ y^2 $ 을 $ x $ 로 미분한다면 $ 2 \dfrac{dy}{dx} $ 가 아니라 연쇄법칙을 적용해서 $ 2y \times \dfrac{dy}{dx} $ 가 된다. 그 외 $ y $ 에 대한 미분을 할 때도 주의해야 한다.
삼각함수의 극한과 도함수
- 삼각함수의 극한
$ \lim_{t \to 0}{\cos{t}} = 1 $
$ \lim_{t \to 0}{\sin{t}} = 0 $
$ \lim_{t \to 0}{\dfrac{\sin{t}}{t}} = 1 $
$ \lim_{t \to 0}{\dfrac{1-\cos{t}}{t}} = 0 $
- 삼각함수의 도함수
$ D(\sin{x}) = \cos{x} $
$ D(\cos{x}) = - \sin{x} $
$ D(\tan{x}) = \sec^2 x $
$ D(\csc{x}) = - \csc{x} \times \cot{x} $
$ D(\sec{x}) = \sec{x} \times \tan{x} $
$ D(\cot{x}) = - \csc^2 x $
'Mathematics > Calcu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lculus] 도함수의 특이점 (0) | 2024.09.08 |
---|---|
[Calculus] 엡실론-델타 논법 (0) | 2024.09.04 |
도함수
도함수는 미분계수를 일반화시킨 개념이다. 즉 도함수는 어떤 함수의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정의는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함수 f 의 정의역의 원소 x 에 다음 극한값 mx=lim 가 존재하면 m_x 함수를 f 의 도함수라 한다.
이러한 도함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여라가지가 있는데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뉴턴 표기법
f^\prime (x)
- 라이프니츠 표기법
\dfrac{d}{dx} f(x)
- 미분연산자 활용
D f(x)
도함수 성질
- 합차법칙
D \left[ f(x) \pm g(x) \right] = D f(x) \pm D g(x)
- 곱법칙
D \left[ f(x)g(x) \right] = f(x)Dg(x) + Df(x)g(x)
- 몫법칙
D \left[ \dfrac{f(x)}{g(x)} \right] = \dfrac{Df(x)g(x)-f(x)Dg(x)}{ \left[ g(x) \right]^2}
- 연쇄법칙
미분연산자 표기: D_x y = D_u y \times D_v u \times D_x v
라이프니치 표기: \dfrac{dy}{dx} = \dfrac{dy}{du} \times \dfrac{du}{dv} \times \dfrac{dv}{dx}
- 어림값 구하기
dy = f^\prime (x) dx 일 때 dx = \Delta x 를 통해 dy 를 어림할 수 있다.
f(x+\Delta x) \approx f(x) + dy = f(x) + f^\prime (x) \Delta x
음함수 미분
해당 식을 모두 미분하고, \dfrac{dy}{dx} 만 남기고 우측으로 넘겨 정리한다.
주의할 점은 y 는 x 에 대한 함수이므로 y^2 을 x 로 미분한다면 2 \dfrac{dy}{dx} 가 아니라 연쇄법칙을 적용해서 2y \times \dfrac{dy}{dx} 가 된다. 그 외 y 에 대한 미분을 할 때도 주의해야 한다.
삼각함수의 극한과 도함수
- 삼각함수의 극한
\lim_{t \to 0}{\cos{t}} = 1
\lim_{t \to 0}{\sin{t}} = 0
\lim_{t \to 0}{\dfrac{\sin{t}}{t}} = 1
\lim_{t \to 0}{\dfrac{1-\cos{t}}{t}} = 0
- 삼각함수의 도함수
D(\sin{x}) = \cos{x}
D(\cos{x}) = - \sin{x}
D(\tan{x}) = \sec^2 x
D(\csc{x}) = - \csc{x} \times \cot{x}
D(\sec{x}) = \sec{x} \times \tan{x}
D(\cot{x}) = - \csc^2 x
'Mathematics > Calcu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lculus] 도함수의 특이점 (0) | 2024.09.08 |
---|---|
[Calculus] 엡실론-델타 논법 (0)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