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LaTeX] 레이텍 문법 관련 사이트 모음
·
Language/LaTeX
문법 관련 사이트 기본 문법 (링크) 위키백과:TeX 문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정보문입니다.이 문서는 정책과 지침은 아니지만, 위키백과의 규범과 관습 측면에서 공동체의 확립된 관행을 설명하고 있습니다ko.wikipedia.org 수식 웹 (링크) HostMath - Online LaTeX formula editor and browser-based math equation editorCopy and paste the code above to your webpage! Equation Type Paragraph Equation Inline Equationwww.hostmath.com
[CSS] CSS 적용 방법 및 적용 우선순위
·
Language/HTML & CSS
적용 방법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하나는 외부 적용, 하나는 내부 적용, 하나는 태그 마다 적용이다. • 외부 (External CSS)외부에서 CSS 파일을 불러와서 태그로 적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권장된다.위와 같이 적용하며, 주로 위와 같이 태그 안에 CSS를 넣어 적용한다. • 인라인 (Inline CSS)각 태그마다도 적용시킬 수 있다. 빨간색, 20px위와 같이 HTML 태그 안에 style 속성을 직접 설정하여 CSS를 적용한다. 적용 우선순위 1. !important    모든 CSS 규칙을 초과하여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2. style 속성을 이용한 inline    HTML 태그에 직접 지정하면 다른 스타일시트에서 정의한 규칙보다 우선한다.3. id 선..
[HTML] 클래스(class) 및 아이디(id)
·
Language/HTML & CSS
Class 및 ID class와 id 모두 HTML 속성이다. 즉 태그 안에 다음과 같이 넣을 수 있다.버튼헤더class는 여러 태그들에 적용 가능하다. 즉 같은 이름을 가진 클래스를 여러 태그가 공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여러 태그를 묶어서 관리할 수 있다. 반면 id는 단일 태그에만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어떤 태그에 "header"라는 id를 사용했다면 다른 태그에서는 "header"라는 id는 사용할 수 없다.두 속성 모두 CSS를 통해 디자인할 때 사용할 수 있다. class는 .을 통해 접근하고, id는 #을 통해 접근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아래와 같이 적용하면 된다. 참고로 비슷해보이는 name 속성은 CSS에서 사용 불가능하다. classid여러 요소 적용 가능단일 요소만 적용 가..
[HTML] HTML 태그
·
Language/HTML & CSS
기본 구조 HTML 전체를 크게 나누는 태그이다.HTML 문서를 표준 모드로 렌더링하도록 브라우저에 선언하는 태그로, HTML5에서는 단순 선언용으로 사용된다.HTML 문서의 루트 요소로, 전체 HTML 콘텐츠를 감싸는 최상위 태그이다.문서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제목, 스타일시트, 스크립트 등을 정의한다.브라우저에 표시될 실제 콘텐츠, 즉 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메타데이터 태그 (Metadata Tag) HTML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로, 브라우저나 검색 엔진이 문서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며, 주로 내부에 포함된다.문서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요소로, 문자 인코딩, 뷰포트 설정, SEO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문서 내 모든 상대 URL의 기준이 되..
[HTML] HTML 간단 소개
·
Language/HTML & CSS
HTML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마크업 언어에 속한다. 마크업 언어는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를 정의하거나,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지정하는 컴퓨터 언어의 일종이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누군가 "저는 HTML로 프로그래밍해요"라고 말한다면, 엄밀히 말해 틀린 표현이다. 그래서 이를 이용한 밈도 존재한다.HTML은 웹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며, 텍스트, 이미지, 링크, 동영상 등의 요소를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보는 기본적인 웹 페이지의 뼈대를 구성한다고 보면 된다. 다만 HTML만으로는 정적인 웹페이지 정도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을 위해 CSS, 동적인 기능을 위해 JavaScript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C++]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
·
Language/C & C++
오류 오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컴파일 과정에서 문법에 맞지 않아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고, 코드 작성 과정에서 개발자의 실수로 개발자의 의도와 다르게 작동하는 오류도 있다. 혹은 논리적 오류로 인해 개발자가 예상한 범위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특정 상황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컴파일 오류나 개발자의 의도와 다르게 작동하는 오류의 경우는 따로 수정이 필요하지만, 개발자가 예상한 범위에서는 정상 작동하는 코드의 경우 개발자가 의도한 범위 안에서만 동작하도록 하고 그 외 부분은 예외처리하여 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거듭제곱을 계산하는 power라는 함수를 만들었다고 해보자. 근데 이 거듭제곱을 계산하는 함수는 정수에 대한 양의 정수 제곱밖에 계산하지 못한다면 실수의 거듭제곱 혹은 ..
[C++] 파일 입출력 스트림(file I/O stream) 및 파일 포인터(file pointer)
·
Language/C & C++
파일 종류 파일은 텍스트 파일과 바이너리 파일로 나뉜다. 텍스트 파일은 문자 데이터로 구성된 파일로, 사람들이 사용하는 글자 혹은 문자들만 포함된다. 각 문자는 ASCII 코드나 유니코드로 저장되며, 일반적으로 텍스트 편집기를 사용해 읽고 수정할 수 있고, 대표적인 예로 txt 파일이 있다. 반면, 바이너리 파일은 텍스트로 표현되지 않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포함하며, 특정 프로그램만이 이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고, 이미지, 오디오, 실행 파일 등이 바이너리 파일의 대표적 예이다. 바이너리 파일은 각 바이트의 의미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정의된다.참고로 어느 파일이든 파일의 끝을 읽으면 EOF, 즉 -1을 반환한다. 파일 입출력 스트림 (File I/O Stream) 파일 입출력 스트림은 파일을 프로그램과 ..
[C++] 포맷 플래그(format flag) 및 조작자(manipulator)
·
Language/C & C++
포맷 플래그 포맷 플래그는 C++에서 입출력 형식을 지정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C에서는 printf() 와 함께 다양한 형식 지정자 및 플래그를 사용하여 입출력 형식을 지정하였지만 C++에서는 입출력 스트림을 이용하여 입출력을 제어하고, 이때 std::cin 혹은 std::out 이 사용되기 때문에 C와 다른 방식으로 입출력 형식을 지정해주어야 한다.플래그값의미ios::skipws0x0001입력 스트림에서 공백 문자(Space, Tap, Enter) 무시ios::unitbuf0x0002출력 스트림에 들어오는 데이터를 버퍼링하지 않고 바로 출력ios::uppercase0x000416진수 표현의 알파벳을 대문자로 출력ios::showbase0x000816진수는 $\..
[C++] 입출력 스트림(I/O stream) 및 버퍼(buffer)
·
Language/C & C++
스트림 및 버퍼 스트림은 입출력 및 에러 전달 과정 등 데이터의 흐름을 추상화한 개념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흐름을 구성하는 일련의 데이터 요소를 말한다. C++에서는 특히 표준 입력, 표준 출력, 표준 에러 스트림이 존재하고, 입력은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에서 데이터를 받아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며, 출력과 에러는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출력 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로 전달한다.입출력 스트림에는 버퍼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일시적으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곳이라 보면 된다. 데이터를 입력받은 그 즉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 혹은 전달하는 특정한 입력이 있을 때까지 버퍼에 저장해두었다가 전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std::cin 은 사용자가 공백문자나 개행문자를 입력하기 전까지 버퍼..
[Java] 간단한 텍스트 파일 입출력
·
Language/Java
파일 입출력 외부 파일을 읽고 쓰거나 저장해야 할 경우, 파일을 코드로 입력받고 출력할 수 있도록 처리해야 한다. 입력 파일을 읽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후, 결과를 새로운 파일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파일로 저장하는 이유 중 하나는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여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컴퓨터의 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주기억장치는 흔히 말하는 RAM이고, 보조기억장치는 SSD, HDD 등을 말한다. 주기억장치는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진다. 반면 보조기억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기에 전원 공급 없이도 데이터 보존이 가능하다. 단 데이터 처리에서 RAM이 빠르기에 RAM에서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한다.파일 입..
애스터로이드